반응형
태그: 이직관리, 유지관리, 인적자원, 복리후생, 퇴직
10일 정도에 걸쳐서 정말 많은 책을 보며 심혈을 기울인 report 입니다.
참고 report 로 사용하시면 후회는 하지 않으실 겁니다.
◎ 이직관리와 유지 ---------------------------------------- page 1 ~ 11
제1절 이직의 기초개념 ------------------------------------- page 1 ~ 3
1. 이직의 개념 - page 1 ~ 2
2. 이직의 중요성 - page 2 ~ 3
3. 이직률과 비용 - page 3
제2절 이직의 원인과 모형 ----------------------------------- page 4 ~ 6
1. 이직의 원인 - page 4 ~ 5
2. 이직결정모형 - page 5 ~ 6
제3절 사직관리 ------------------------------------------- page 6 ~ 10
1. 사직 - page 7
2. 퇴직 - page 7 ~ 9
3. 해고 - page 9 ~ 10
제4절 유지 ---------------------------------------------- page 10 ~ 11
◎ 복리후생제도 ------------------------------------------- page 11 ~ 20
제1절 복리후생의 본질 ------------------------------------- page 11 ~ 16
1. 복리후생의 의의 - page 12
2. 복리후생의 기능 - page 12 ~ 13
3. 복리후생의 성격 - page 13 ~ 15
4. 복리후생관리의 3원칙 - page 15 ~ 16
제2절 복리후생의 유형 ------------------------------------- page 16 ~ 20
1. 법정 복리제도 - page 16~ 17
2. 비법정 복리제도 - page 17 ~ 18
3. 선택적 복리제도 - page 18 ~ 20
1. 이직의 개념
이동이란 근로자의 입직과 이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이직(separation)이란 근로자의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서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고용이 종료되어 소속집단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자의적 이직이란 사직을 말하며 근로자의 개인적 사정(예컨대 결혼, 임신, 출산, 질병, 전직, 이사 등의 원인)으로 회사를 떠나는 것이다. 반면에 비자발적 이직이란 타의에 의한 이직으로 고용기간의 만료, 규칙위반 등의 이유로 인한 해고, 노동력 유지를 위한 일시해고, 사망·장애 등의 원인으로 회사를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경제상황의 악화 등으로 기업의 노동력유지와 임금절감의 목적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이직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많은 사회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속에서도 근로자 개인적 불만이나 전직의 목적을 가진 자발적 이직이 전체 이직률의 40%에 이르고 있는 것을 볼 때, 비자발적 이직에 따른 문제점과 더불어 유능한 근로자의 이탈이라고 할 수 있는 자발적 이직에 대한 문제도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타의에 의한 이직으로 받게 되는 근로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파괴를 방지하고, 자의에 의한 이직으로 발생하는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율적 이동관리란 기업에 활기를 불어 넣고 전체 종업원의 사기를 향상시키며 조직의 목표달성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직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1. 정수진, 고종식 공저(2000), 인적자원관리, 서울 : 삼우사,
2. 유기현(1999), 인적자원관리론, 무역경영사
3. 신승종(2004), 전략적 인사관리, 대전 : 대경,
4. 김기석(1996), 인사관리론, 명경사,
5. 김석현(1991), 인사관리론, 무역경영사
6.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영계, 1985, 12월,
7. 임창희 (2003), 신인적자원관리, 서울:명경사
8. 이재훈․이종준 (1998), 신인적자원관리, 서울:경문사,
9. 이재훈 외 4인 (2007), 인적자원의 이해와 활용, 서울:경문사
10 D.T. Hall, Careers in Organizations, Good Year, 1976,
11. I, Ross and A. Zander, "Need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Personnel Psychology, 1957
12. E.B. Flippo, Personnel Management, McGraw-Hill, 1983,
13. D.R. Dalton, D.M. Krackhardt and L.W. Porter, "functional Turnover: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1
14. E.B. Flippo, op. cit.
15. W.X. Viscu니, “Sex difference in Worker Quitting", Review of Economic and Satistics, 1980,
16. J. Federico, P. Federico and G. Lundquist, "Predicting Women`s Turnover as a Function of Extent of Net Salary Expectat
http://mybox.happycampus.com/suheak/1936751
반응형
'↓이전자료↓ > 광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화와 품질보증시스템 (0) | 2012.06.28 |
---|---|
[경영]볼보의 직무재설계 (0) | 2012.06.28 |
[인적자원]외부선발 (0) | 2012.06.28 |
경영 이란 무엇인가 (0) | 2012.06.28 |
통신업과 서비스업의 융합 사례 : ATM (0) | 2012.06.28 |